본문 바로가기
뒤로

콩팥, 요관, 방광, 요도 중 어디든지 돌이 생기면 요로 결석이라고 합니다.

요로 결석의 위치에 따른 분류

위치에 따른 요로 결석의 분류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요로의 각 부위가 하는 일을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먼저 콩팥에서 소변이 만들어집니다. 만들어진 소변은 요관이라 불리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방광으로 수송됩니다. 사람이 계속 오줌을 눌 수는 없으므로, 방광은 화장실에 갈 때까지 소변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후 화장실에서 방광이 수축하면 소변은 마지막 출구인 요도를 통해 몸 밖으로 배설되게 됩니다.

  • - 신장 결석 : 소변이 만들어지는 콩팥에 생기는 결석
  • - 요관 결석 : 콩팥에서 방광까지 소변이 수송되는 파이프 라인인 요관에 생기는 결석
  • - 방광 결석 : 화장실에 갈 때까지 소변을 저장해 두는 방광에 생기는 결석
  • - 요도 결석 : 저장되었던 소변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요도에 생기는 결석

요로 결석의 성분에 따른 분류

요로 결석의 결정을 구성하는 성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습니다.

칼슘 수산석(Calcium oxalate stone)
전체 요로 결석의 약 8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결석입니다. 소변이 산성일 때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산석(Uric acid stone)
요산석이 중요한 이유는 일반 X-레이에서 잘 보이지 않는 결석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초음파와 요로 조영술 혹은 CT 등을 이용해 의심되는 요산석을 진단해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체 요로 결석의 5~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칼슘 인산석(Calcium phosphate stone)
앞선 돌들과 달리 소변이 지속적으로 알칼리 성을 나타낼 때 주로 발생되며, 이는 특히 소변 내 특정 균주의 감염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체 결석 중 5~10%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트루바이트 결석(Struvite)
소변 내 세균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석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결석 치료와 아울러 요감염 상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로계 수술이나 신경 손상 등, 소변이 정상적으로 배설되기 힘든 상황에서 주로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체 결석의 10~1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스틴 결석(Cystine stone)
드문 결석으로 시스틴 성분이 요중으로 배설되는 특정한 유전 질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