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뒤로

혈뇨란?

혈뇨는 말 그대로 소변에 피가 섞여 있는 증상입니다. 그러나 겉으로는 정상 소변 색깔임에도 소변 검사를 해 보면 미세하게 적혈구가 섞여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는 혈뇨가 아닌데 검사상 오류로 인한 혈뇨도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해야 합니다.

혈뇨의 분류

육안적 혈뇨
맨눈으로 보아도 소변에 피가 섞여 있거나 검붉은 소변이 나오는 경우
미세 현미경적 혈뇨
맨눈으로 볼 때는 정상 소변 색깔이지만, 소변 검사를 하면 적혈구 반응이 있는 경우
가성 혈뇨
실제로는 혈뇨가 아닌데 육안적으로 혹은 검사상 혈뇨로 오인되는 경우. 용혈 현상으로 인한 헤모글로빈뇨, 심한 근육 손상이나 운동 이후 발생하는 마이오글로빈뇨, 또는 월경이나 검체 오염에 의한 검사 오류 등이 해당됩니다.

실제 혈뇨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면, 육안적 혈뇨의 50%에서, 그리고 미세 현미경적 혈뇨의 70%에서는 특별한 원인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혈뇨가 있을 때에는 반드시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혈뇨는 요로 결석이나 신장 질환, 그리고 드물게는 종양 같은 중대한 질환의 위험 신호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혈뇨의 대표적인 원인

  • 종양 : 요도, 방광, 요관, 콩팥, 전립선과 같은 요로계 종양에서 혈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요로 결석 : 요로에 돌이 발생하는 결석에서도 혈뇨가 흔하게 발생합니다.
  • 감염 및 염증 : 신우신염, 방광염, 전립선염, 요도염, 간질성 방광염 등
  • 외상 : 콩팥이나 음경, 방광 등의 비뇨기계 외상이나 충격을 입었을 경우
  • 콩팥 질환 : 단백뇨, 신장 혈액 수치의 이상 등이 동반될 때 의심할 수 있습니다. 콩팥의 질환이 의심될 경우 신장 내과적인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진단

소변 검사
혈뇨의 염증성 원인을 알아보기 위한 세균 검사, 종양 세포가 섞여 있는지 보는 요세포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방광 내시경
요도 및 방광 내의 병변을 보기 위해 시행하는 내시경 검사입니다.
상부 요로 확인을 위한 영상 검사
요로 결석이나 요관 혹은 콩팥의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수 X레이인 경정맥 신우조영술이나 CT 등의 검사를 고려하게 됩니다.

치료

각각의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만 검사에서 특별한 원인을 찾지 못한 경우에는 의료진과의 상의 하에 적절한 추적 관찰을 시행하게 됩니다.